본문 바로가기
Computer language and framework/GO

[GO] 프로그래머스 > 코딩테스트 입문 > 소인수 분해

by WhiteGoblin 2024. 10. 24.
반응형

문제 설명

소인수분해란 어떤 수를 소수들의 곱으로 표현하는 것입니다. 예를 들어 12를 소인수 분해하면 2 * 2 * 3 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. 따라서 12의 소인수는 2와 3입니다. 자연수 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 n의 소인수를 오름차순으로 담은 배열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

제한사항
  • 2 ≤ n ≤ 10,000

 

입출력 예nresult
n result
12 [2 , 3 ]
17 [17]
420 [2,3,5,7]

입출력 예 설명

입출력 예 #1

  • 12를 소인수분해하면 2 * 2 * 3 입니다. 따라서 [2, 3]을 return합니다.

입출력 예 #2

  • 17은 소수입니다. 따라서 [17]을 return 해야 합니다.

입출력 예 #3

  • 420을 소인수분해하면 2 * 2 * 3 * 5 * 7 입니다. 따라서 [2, 3, 5, 7]을 return합니다.

 

정답 코드 

// 주어진 숫자 n 을 소인수 분해
// 중복된 값 제거 
// 오름 차순 정리 

func solution(n int) []int {

	soinsu := []int{}
	elements := 2

	// divisor * divisor <= n이 참일 동안 반복
	// 이는 divisor가 n의 제곱근보다 작거나 같을 때까지 반복하는 것
	for elements*elements <= n {
		if n%elements == 0 {
			soinsu = append(soinsu, elements)
			for n%elements == 0 {
				n /= elements
			}
		}
		elements++
	}
    
	// n 이 1보다 크면 마지막 소수인 경우
	if n > 1 {
		soinsu = append(soinsu, n)
	}

	return soinsu
}

 

문제 해결 능력이 중요한거 같습니다. 

반응형